내 컴퓨터에 포맷 후 윈도우10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나면 필요한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하게 됩니다. 하지만 나중에도 이런 일이 계속 반복되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릴 수 있는데요. 윈도우 설치 시 감사모드로 진입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 후 Sysprep 일반화하여 작업 후 ImageX 로 봉인하면 프로그램을 반복하여 설치하는 일이 줄어듭니다.
이를 만능 고스트 이미지 작업이라 합니다. install.wim 윈도우 이미지 (Windows Images) 압축파일로 만능 봉인하여 필요한 프로그램도 동시에 설치 됩니다.
추가로 더 설명을 드려야 할 내용이 정말 많지만 다 읽지 못할 정도로 많아져 Sysprep 에 대해 조금 더 내용을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technet 링크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10 Sysprep 일반화 ImageX 봉인
좀 더 쉽고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VMware 의 가상화 OS 환경으로 진행되며 절때 예약 파티션이 없는 상태에서 작업해야 됩니다. 예약 파티션을 없애버리는 방법은 [링크]를 참조하면 되겠습니다.
1) 윈도우10 설치하면서 거의 마무리 과정 중 계정을 생성전에 'Ctrl+Shift+F3' 키를 눌러 '감사모드(Audit Mode)'로 진입합니다.
2) 그럼 '시스템 준비 도구' 창이 뜹니다. 아직 건드릴이 없으니 '취소' 버튼을 누릅니다.
3)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설정이 사이드바에 뜨면 '아니요' 버튼을 누릅니다.
4) 그리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절때 재부팅은 하지말고 '기본적인 것을 설치하시길 권장'하며 '그 반대의 경우 나중에 봉인 과정 중 실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든 사용자 선택과 같은 과정이 나오게 되면 '공용' 즉 '모든 사용자'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5) 프로그램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아까 닫았던 시스템 준비 도구 창을 다시 열기 위해 단축키 'Win+R' 키를 눌러 실행 창 열기 입력항목에 'c:\windows\System32\Sysprep\sysprep.exe' 명령어를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6) 시스템 준비 도구 창이 뜨면 반드시 '일반화'를 선택하시고 종료 옵션을 '시스템 종료'로 선택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7) 그럼 일반화 작업이 시작되면서 Sysprep 플러그인을 처리합니다.
8) VMware 환경에서 작업했기 때문에 결과물은 Vmdk 파일로 저장되며 이를 Vhd 가상 하드디스크로 변환하기 위해 아래 Vmdk2Vhd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해 압축을 풀고 Vmdk2Vhd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Vmdk->Vhd 파일로 변환합니다.
9) 아래와 같이 Vhd 가상 하드 디스크로 변환이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0) Vhd 파일을 더블클릭시 E: 드라이브로 가상으로 마운트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다시 install.wim 이미지로 봉인해야 합니다.
11) CMD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12) imageX.exe 파일을 C 드라이브에 다운로드한 후 아래 Wim 이미지 캡처 명령어를 입력하여 엔터를 누릅니다.
imagex /Compress Maximum /Check /Scroll /Capture E: C:\install.wim "Win10Prox64"
(마운트 된 E 드라이브 -> C 드라이브에 install.wim 캡처 그리고 OS 명 )
13) 그럼 install.wim 캡처 이미지 봉인이 시작됩니다. 여기서부터는 시간이 조금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14) 프로그램이 얼마나 미리 설치되었느냐에 따라 1시간이 넘을 수 있습니다. exit 명령어를 치고 엔터를 누르거나 X 버튼을 눌러 닫습니다.
15) 디스크 관리 창을 열기 위해 'Win+R' 키를 눌러 실행 창에 열기 입력 항목에 'diskmgmt.msc' 명령어를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16) 그럼 마운트 된 E: 드라이브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VHD 분리 메뉴를 선택해 마운트를 해제합니다.
17) C 드라이브에 보면 install.wim 파일로 이미지가 봉인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량이 늘어난 것을 보아하니 정상적으로 봉인 작업이 완료된 거 같습니다.
이를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여 iso 이미지 파일로 만들거나 USB 윈도우 설치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파일을 교체합니다.
[OS] - 윈도우 설치 iso 파일 수정 후 UEFI 부팅 가능한 이미지 만들기 64비트
18) 마지막으로 실제로 일반화 작업하여 Sysprep 작업 후 wim 파일로 봉인하여 윈도우를 실제로 설치해보았습니다. 아까 설치한 프로그램이 고대로 설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손이 너무 많이 가지만 한번 봉인 작업을 하다 보면 나중에 윈도우 설치 시 다른 프로그램도 동시에 설치되어 시간도 훨씬 절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PC 가 많으면 정말 효율적입니다.
핑구야 날자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감사 모드에 대해서 잘 배워 갑니다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핑구야 날자님 감사합니다.
공수래공수거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윈도우 7에는 없는 기능인가 보군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윈도우7에도 있습니다.ㅎㅎㅎ
코코 언니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포스팅 잘 봤어요~ 오늘하루도 즐겁게 보내세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코코 언니님도 오늘 하루도 즐겁게 보내세요.^^
포토구라퍼666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유익한 정보네요. 몰랐던 부분인데 잘 배우고 갑니다. ^^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포토구라퍼666님 감사합니다.^^
꿀팁걸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잘 보고 갑니당~ 날씨가 많이 더워요. 더위 조심하세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꿀팁걸님도 더위 조심하세요.^^
momo is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전 이미지란 프로그램으로 이미지를 떴었는데 자체적으로도 있군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네 윈도우7 부터는 자체적으로 있더군요.
사랑두리의 미래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한번 설정해 놓으면 포맷할 필요없이 복구 시키면 되니 편리하겠네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네 한번 해놓으면 포맷은 기본 사항이지만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설치되더군요.
veneto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옛날에 만능고스트나 cpu와 메인보드가 달라도 하나의 시디로 설치할수 있게 만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윈도우 10에서는 예전보다 편해진것 같습니다 ^^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윈도우8 부터는 어떤 PC 라도 자동으로 하드웨어를 인식해서 편해졌더라구요.ㅎㅎㅎ
Sakai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이런 기능도 있었군요.전혀 모르고 있었던 내용이었던것 같습니다.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네 사실 전문직 종사자가 아닌 이상 모를수도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백업 프로그램이 더 편리할수도 있긴합니다.
오오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고스트나 뜨루 이미지 같은걸로 떠놓은 뒤에 복원 하는 방법도 좋겠네요!
그게 이거랑 같은거 같지만(...)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네 ㅎㅎㅎ
김태현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윈도우 정품이나 오피스 정품을 받은 상태로 진행해도 무관한가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그건 시도를 해본적이 없지만 같은 PC 라면 아마 무관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안정성 성공적인 작업을 위해서라면 인증 문제는 별도로 생각해보시는게 어떠신지요.
OldMac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RS2부터는 감사모드 진입이 조금 달라졌다고 하더니.....
저는 코타나 설정 부분에서 들어가는 줄 알았습니다. ^^;
RS3도 감사모드 진입이 같았으면 좋겠습니다.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네 저도 RS2 부턴 달라져서 조금은 해매긴 했는데 RS3 에서도 똑같은 방식이었으면 좋겠습니다.^^
Hongs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이작업에 대해 궁금한게 저렇게 봉인전 윈도우업데이트 모두 받고서 봉인해도 되는지가 궁금합니다..;;;win7이나 10이나 봉인방법은 같은데 윈7의 경우 업데이트가 어마어마해서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그래도 되긴되는데 단순 프로그램 설치만을 권장합니다.
다만 업데이트를 하시려면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prolite.tistory.com/532
손님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윈도우10 설치해서 wim 이미지 파일을 만들고 usb source 폴더에 넣으려니 기존 install 파일 확장자가 wim 가 아닌 esd 인가 eds 로 되어 있습니다. 검색해서 찾은 변환툴로 시도하니 오류나서 안되는데, 그냥 덮어쓰기해도 되나요?
그리고, 칩셋이 다른 모델에도 설치가능 한지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오류가 난 파일을 덮어씌기 한다면 안됩니다.
칩셋은 드라이버나 업데이트 등 통합하지 않은 이상 아마 거의 지장 없을겁니다.
확률적으로 PC 마다 오작동하는 경우도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잉크방울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좋은 자료 감사 합니다.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네 감사합니다.
HWchoi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Vmdk2Vhd 이프로그램을 실행 하면 넷프레임 워크를 설치하라는 문구가 뜬후, 설치도 안되며, 건너 뛰어도 설치가 안되는데 이부분은 어찌 해결해야 하나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넷프레임 워크를 따로 설치해보시기 바랍니다.
Microsoft .NET Framework 3.5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21
Microsoft .NET Framework 4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17851
HWchoi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저는 실 컴퓨터에서 작업을 해본적도 없으며 말씀해주시는 에러는 저도 해결법을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VM 에서 진행하시는게 오히려 여러가지면에서 편하고 에러없이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거 같습니다.
ammb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현재 vmware 12를 사용중입니다. sysprep 봉인까지 다 마치고 맵핑을 하는데 윈도우 상에서 맵핑한 드라이브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이 생기네요....
vmdk를 vhd를 바꾸어 시도를 해보았으나 vhd를 더블 클릭하여 가상드라이브를 만들면 드라이브는 생겨도 아무것도 안보이네요 ㅠㅠ
어떤게 문제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vhd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뭔가 잘못 생성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도와주세요 주소 ┃ 수정 / 삭제 ┃ 답글달기
작성해주신글은 잘 보았습니다. 헌데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글 남깁니다. 저는 vm을 사용하지않고 생pc에 ssd만 장착된 피씨에 윈도우7을 설치하고 오피스와 윈도우업데이트를 한 후 시스프렙으로 일반화체크후 시스템 종료- 재부팅하여 초기설정 사용자이름 기입하고 윈도우에 진입합니다. 그 이후 과정을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글남깁니다. 제가 하고싶은건 지금 1의 pc에서 윈도우작업 오피스 설치등을 한뒤 이것을 usb에 담아 제 2의 pc에서 사용할수 잇는 포멧용usb로 만들고 싶은게 저의 목적입니다.
Vm을 사용하면 작성해주신대로 따라하면 되겠지만 그게 불가능하여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아 그리고 VM을 사용하지않고 생PC에서 시스프렙을 돌리고 윈도우 진입해서 혹시나 .wim이 있는지 찾아보았지만 어디에 저장이 되있는지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하나 검색되는건 기존 .wim일거 같기도 하고요..
답글: IT넘버원 주소 ┃ 수정 / 삭제
생PC 에서 작업하게 되면 이런 저런 문제가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VM을 권장합니다.
저도 생PC에서 작업하지 않습니다.